구원의 근로소득 지니계수 등을 봐도
흐름"이라면서 "민주연구원의 근로소득 지니계수 등을 봐도 점차 개선되는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장 위원은 대신 "자산불평등문제가 중요하다는 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면서 특히 부동산자산격차에 대한불평등심화를 꼽았다.
장 위원은 또 한국 내 소득.
조정 추진과 함께 사회안전망 강화에 정책 역량을 집중해온 결과 소득분배 지표가 지속 개선돼 왔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다만자산불평등심화와 계층 이동 기회의 축소 등으로 체감불평등은 크게 나아지지 못한 측면이 있다"며 "단순히 재정투입을 통해 해결.
부터 지속해 하락했으나, 순자산 지니계수는 0.
소득불평등은 완화했으나자산불평등은 심화했다는 뜻이다.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을 나타내는 경제적 지표로, ‘0′이면 완전 평등, ‘1′이면 완전불평등을 의미한다.
부족자 비율이 크게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청소년 층의 비율은 2011년 14.
이외에도 소득 및자산불평등을 측정하는 지니계수는 처분가능소득 기준 2023년 0.
323으로, 전년 대비 소폭(0.
OECD 38개국 중 14.
통계보다 실제 생각은 더 심각하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그는 지니계수 통계와불평등인지 사이 온도 차가 발생하는 것은자산불평등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이 교수는 "집을 가진 그룹과 없는 그룹 간자산격차를 비교하면 2017년 5.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정책상품인 ‘청년도약계좌’가자산불평등을 35%가량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올해 정부가 기여금 규모를 더 높이면서불평등완화 효과는 더 커질 전망이다.
월평균 임금 비율은 소폭 상승했지만, 월평균 임금액 자체의 격차는 더 늘었다.
또한 이 기간 순자산 상위 10% 점유율 등자산불평등관련 지표들은 모두 부정적인 흐름을 보였는데 부동산 가격 상승이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상황에서 웬 헛소리냐고? 지표가 좋게 나와도 대중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완화되고 있는 소득분배지표는 물론, 계속 벌어지는자산불평등도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는지에 대한 의구심을 키운다.
지표와 체감 간의 틈은 왜 벌어지는 것일까.
2023년 부동산 하락기에도 순자산 지니계수(자산의 불평등도를 0에서 1 사이의 숫자로 나타냄)가 크게 개선되지 않아 지속적인자산불평등이 심해지고 있”다고 본다.
또한 “자산증감에서 개인의 노력보다 외부 요인(자산가치 변동·상속·증여)이 과도해지지.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을 나타내는 경제적 지표로, '0'이면 완전 평등, '1'이면 완전불평등을 뜻한다.
소득불평등은 완화했으나자산불평등은 심화한 한국 사회를 보여준다.
성평등 지표도 개선이 필요한 분야다.
2024년 기준 여성 국회의원 비율.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